지역을 살리는 협동조합 만들기....
2013년 1월 25일(금)
지난 해 가을부터 일 것이다. 잘 다니던 회사에 사표를 던지고, 이것 저것 책도 읽으며 여유(?)있게, 애써 자연스런 이미지를 씌우고 싶어서 여유란 표현을 썼나 보다 ㅎㅎ, 새로운 곳을 알아보면서 생협이라는 새로운 조직 형태를 알게 되었다. 솔직히 직장 생활을 할 때는 시간적 여유가 생기지 않는다는 핑계로 직장과 가정을 제외한 바깥 세상과는 거리가 멀었다. "돈과 직장이 목적이 아니고 내 삶의 수단이면서 내가 생각하는 삶을 살 수도 있겠구나" 란 기대감으로 관련서적을 구입하여 읽다가 조금씩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아직까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채널이 빈약하다보니, 아니다! 내가 게으러고 소극적이다는 표현이 더 어울리겠다, 책으로는 공감하는 것 이상으로 내 욕구를 충족할 시킬 수 있는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트위터, 블로그 등을 통해 유사한 생각을 가진 사람을 찾아 보았지만 이 또한 마음 내키는 만큼은 안된다. 이번 주말 빌려온 두 권의 협동조합 관련 책을 읽은 후 off 라인에서 행해지는 것을 찾아 봐야겠다. 문제는 사람이다. 아래 간단 요약은 아래 책의 내용을 발췌한 것이다.
지역을 살리는 협동조합 만들기, 그레그 맥레오드 지음, 이인우 옮김
지역을 살리는 협동조합 만들기 7단계
1. 3~4명의 소규모 모임부터 시작한다
사람 찾기에서 도덕 수준과 활동 수준이 중요하다.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 가급적 친구를 영입하면서 시작하는 게 좋다. (친구와 같은 우정이 필수!)
쉽고 가능한 일부터 시작하자.
2. 목표와 가치에 합의한다
일상생활의 행동유형을 관찰하면 사람들의 가치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사회경제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토론 과정을 통해 서로 동일한 사상과 비전을 공유하게 되었다고 확신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자신의 돈을 투자하기로 한 것은 합의에 대한 실제 증거였다.
사람들을 이끌어 가는 것 처럼 보이는 기본가치 5
1)돈은 수단이다. 2)개인의 헌신 3)민주주의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4)경영 직무는 훈련되어야 하고 능력도 갖추어야 한다 (이사회 구성과 간부 발탁에 반영)
5)지방의 지역사회 공동체와 연대 관계를 유지한다.
3. 기존 사업체를 통해 성공과 실패 요인을 찾는다
실패한 지역사회 공동체 사업체들이 주장해 온 가장 공통된 가치는 자치권(autonomy), 전통이다. 반면에 성공하려면 끊임없이 적응하고 혁신해야 한다.
4. 무엇을 할 것인지 선택한다
사업은 지방의 상황에 연계된 것이어야 한다. 하나의 사업을 선택할 때 창의적 집단자유토론으로 몇 가지 잠재 후보 사업들을 검토해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 지역 공동체에 일정한 필요를 확실히 충족시켜주게 될 사업을 정했을 때, 지지와 열정을 얻는 것은 매우 쉽다(자본 조성 관련). 또한 실제로 사업에 성공해 본 사람을 팀원으로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필요한 자원을 발굴한다
몬드라곤은 물질적 자원보다 인간적 자원에 더 의존했다. 핵심은 지도자의 높은 수준의 정신과 헌신이다. 그리고 이것은 지방의 역사와 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역 사회의 물질적 자원과 자본을 활용하라. 문제는 자본금 부족이 아니라 자본을 통제하고 감독하는 방법이다. 지역사회 공동체는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성할 수 없다면 성공하기 어렵니다.
6. 사업체의 법인 형태를 선택한다
지역사회 공동체 사업체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는 융통성을 최대한 부여해주는 법률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7. 사업을 시작한다
사업을 어떻게 실제로 추진할 것인가? 성공적인 사례에서는 창립 위원회가 일부 타당성 조사를 스스로 수행하고 때로는 하위 위원회를 활용한다. 조직을 이끄는 리더들이 경영의 통제 체계를 갖추고 사업에 진지한 태도를 보인다면 역량을 갖춘 사업계의 인재들이 자신들의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자원할 것이다. 이사회는 감독하고 지침을 주는 역할을 하며 직원 선발은 경영진의 역할이다. 경영진은 반드시 사업을 존속시킬 수 있도록 성과를 내야 한다.
성공 사례들을 살펴보면 '지역기반 개발 (placebased development)' 전략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5가지 중심축 (five pillars)에 의존하고 있다. 일체화(formation), 금융(finance), 연구(reserch), 기술(technology), 정부(government) 이들 다섯 개의 축은 서로 연관되어 역동적인 관계를 이루어야 한다. 이들을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사람이다. 헌신적인 자세를 가지고 도덕적인 지도력을 소유한 사람!